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전면
(출처 : 국가유산청 유산지정 사진자료)
동화사 서쪽 언덕에 자리잡은 비로암의 대적광전 앞뜰에 세워져 있는 3층석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비로암 삼층석탑의 기단부
(출처: 국가유산청 유산지정 사진자료)
비로암 삼층석탑의 지붕부 모습
(출처 : 국가유산청 유산지정 사진자료)
기단의 각 층에는 네 면마다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겼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기 한 돌로 이루어져 있고,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뜬 조각을 두었다.
비로암 삼층석탑의 상륜부 모습
(출처: 국가유산청 유산지정 사진자료)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수가 층마다 4단이며, 처마는 곱게 뻗어 나가다가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차례로 올려져 있다.
각 기단 위에 괴임을 여러 개 둔다거나, 지붕돌 네 귀퉁이의 들린 정도가 크지 않은 점 등에서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는 단정하고 아름다운 작품이다.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
(항아리 높이 8.3cm, 밑지름 8.5cm)
[출처: 국가유산청 유산지정 사진자료]
1966년 사리구 도굴피해로 파손복구된
납석사리호(蠟石舍利壺)[통일신라 909년]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1966년 부처님의 사리를 담는 기구 일부를 도둑 맞았으나, 없어지지 않은 사리돌그릇에 통일신라 경문왕 3년(863)에 민애왕의 명복을 빌고자 이 탑을 세웠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탑의 건립기록이 확실한 것으로 역사적 사료의 가치가 매우 높다.
Email: izpang@naver.com 유튜브명: 일섭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