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소장 이은석)는 11월 13일 오후 1시에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 강당(충남 태안군)에서 ‘태안선 발굴 20년, 그 발자취를 돌아보며’라는 주제로 「2025년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 해양학술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발표회(포럼)는 다가오는 2027년 우리나라 해양유산 연구의 새 지평을 열었던 ‘태안선 수중발굴’ 20주년을 맞아 국립해양유산연구소가 추진 예정인 기념사업 관련 아이디어와 실행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이다.

2007~2008년에 충청·경기 해역에서 이루어진 태안선 발굴은 우리나라 서해중부해역 최대 규모의 수중발굴 성과로 평가된다. 태안선은 고려시대 강진에서 개경으로 공물을 운송하던 청자 운반선으로, 발굴 당시 청자두꺼비모양 벼루(보물), 청자사자모양 뚜껑향로(보물) 등 2만 5천여 점의 고려청자가 출토되어 학계와 국민의 큰 관심을 모은 바 있다.

이번 발표회(포럼)에서는 태안선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태안선 발굴의 성과와 향후 과제를 조명하고자 한다. ‘태안선 발굴, 쟁점과 역사적 의미’를 주제로 한 윤용혁 전(前) 공주대학교 명예교수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 태안선 발굴의 학술적 의의와 수중발굴 장비, 조사 방법 등에 미친 긍정적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수중발굴의 변환점 태안선’(양순석, 국립해양유산연구소), ▲ 태안선 출토 목간(木簡)에 기록된 ‘재경(在京)’에 대한 문헌 사료, 고고학적 증거 등을 토대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보는 ‘태안선 목간(木簡)의 ‘재경(在京)’에 관한 재고찰’(문경호, 공주대학교), ▲ 태안선 출수품 가운데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한 청자의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는 ‘태안선 출수 청자의 연구 현황과 전망’(한성욱, 민족문화유산연구원), ▲ 국립해양유산연구소와 타 기관의 유물 관리·활용 사례를 비교 검토해보는 ‘태안선 출수 유물의 관리와 활용’(김수현, 국립해양유산연구소)의 순서로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 목간: 화물의 발신지와 수취인, 품목과 수량을 나무 조각에 기록한 것

행사는 별도의 사전 신청 없이 당일 현장 등록을 통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전화(☎041-419-7021)로 문의하면 된다.

앞으로도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선을 비롯한 서해중부해역 수중발굴 성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학술 연구의 장을 열어 나갈 것이며, 전시·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해양유산의 대국민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