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기자 최일통
구룡마을 전설 (전북 익산 금마면 신용리)
1. ‘구룡(九龍)’의 전설: 아홉 마리 용 이야기
마을 뒷산인 용화산(龍華山) 일대에서 **아홉 마리의 용(구룡, 九龍)**이 살았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이 용들은 비를 내리거나 가뭄을 막아주고, 마을을 재해로부터 보호하는 수호신 역할을 했다고 전해집니다.
그러나 아홉 마리 중 한 마리가 인간과 접촉하면서 규율을 어겨 하늘로 승천하지 못하고 마을에 남게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로 인해 마을에는 특별한 영기가 깃들었다고 믿어졌고, 마을 이름도 ‘구룡(九龍)’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전설입니다.
2. ‘구룡동천(龜龍洞天)’ 각자의 유래
마을 뒷바위에는 ‘구룡동천(龜龍洞天)’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이는 **거북이(龜)와 용(龍)**이 머무는 신령한 장소라는 뜻으로, 마을을 신성한 기운이 감싸고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글씨는 옛날 선비나 도인이 이 마을의 지형을 본 후 쓴 것이라는 설이 전해지며, 풍수지리적으로도 명당으로 알려졌습니다.
3. 지명 전이 전설 – ‘구렁마을 → 구룡마을’
또 다른 설화에 따르면, 마을의 지형이 구불구불하고 길게 뻗은 형상이어서 처음에는 ‘구렁마을’로 불렸다고 합니다. 이후 사람들이 이 이름을 한자로 바꾸어 격상시키면서 ‘구룡(九龍)’으로 미화한 것이라는 전언도 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자연숭배와 지형 숭배 사상이 결합된 사례로 해석됩니다.
4.익산 구룡마을 개요
익산 구룡마을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에 위치한 자연마을로, 풍부한 역사와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지닌 곳입니다.
마을 개요
위치: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형성 시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형성
주요 자연환경: 미륵산과 용화산 자락에 위치, 계곡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산지 지형
주요 농산물: 쌀, 땅콩, 복숭아 등
명칭 유래
구룡마을의 이름은 여러 설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전주이씨 이독진이 터를 잡아 '독적마을'로 불렸습니다. 이후 홍주홍씨들이 유입되며 '구룡마을'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마을 뒤 바위에 새겨진 '구룡동천(龜龍洞天)'이라는 글씨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또한, 마을의 지형이 구불구불하여 '구렁마을'로 불리다가 한자로 '구룡마을'로 표기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집니다.
대나무숲
구룡마을은 약 5만㎡ 규모의 대나무숲으로 유명합니다.
특징: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대나무숲 중 하나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자 관광지로 활용됩니다.
관광: 산책로와 포토존이 잘 조성되어 있어 사진 촬영 명소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주변 문화유산
미륵산성: 마을 북쪽에 위치한 고대 산성으로, 역사적 가치가 높습니다.
익산백제토기도요지: 마을 북동쪽에 위치한 유적으로, 백제 시대의 토기 제작 유적지입니다.
현재 모습
구룡마을은 전통적인 농촌 마을의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자연과 문화유산을 활용한 관광지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구룡마을은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마을로, 방문객들에게 풍부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5. 구룡마을 반딧불이
매년 6월초만 구룡마을 대나무숲에서 볼수 있는 풍경이 있습니다.
바로 반딧불이 인데요.
반딧불이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개요
항목 내용
일반 명칭 개똥벌레
학명 Luciola lateralis
속명 반딧불이과 (Lampyridae)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일부
서식지 논, 습지, 하천변, 저지대 습한 지역
*. 생김새 및 특징
몸길이: 약 7~9mm
몸 색깔: 검은색 또는 짙은 갈색 몸통, 노란 등껍질
발광 기관: 복부 끝 부분에 위치
수컷은 날며 빛을 내고, 암컷은 식물 위에 앉아서 빛을 냅니다.
*. 발광(빛내는) 원리
**화학 반응에 의한 ‘냉광(冷光)’**을 냅니다.
관련 화학 물질:
루시페린(Luciferin): 빛을 내는 기질
루시페라아제(Luciferase): 반응을 일으키는 효소
산소, ATP가 함께 작용하여 빛을 냄
온도나 에너지 손실 없이 빛을 냄 (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
*. 생태 및 생활사
1. 알-성충이 풀잎이나 물가에 낳음
2. 유충-물속에서 생활(주로 달팽이, 작은 연체동물을 잡아먹음)
이 시기가 생애에서 가장 길며, 약 10개월 이상 지속
3. 번데기-육상으로 올라와 땅속이나 낙엽 아래에서 번데기 상태로 변함
4. 성충-수명: 약 5~10일
먹이는 거의 먹지 않음 (일부는 아예 먹지 않음)
짝짓기를 위해 빛을 냄
짝짓기 후 짧은 생을 마감
*서식 환경
개똥벌레는 매우 청정한 환경을 필요로 합니다.
물의 수질이 깨끗하고, 농약이 거의 없는 논이나 습지
밤에 빛 공해가 적은 지역
유충이 잘 자랄 수 있는 연체동물이 많은 환경
*. 보호 및 환경적 의미
개똥벌레(애반딧불이)는 멸종 위기 종은 아니지만, 서식지 감소와 오염으로 개체 수가 줄고 있습니다.
환경 지표종: 개똥벌레가 보인다는 것은 그 지역의 생태계가 건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개똥벌레를 볼 수 있는 곳 (대표 지역)
지역 특징
전북 무주 대한민국 대표 반딧불이 축제 개최지
경북 영양 늦반딧불이와 애반딧불이 동시 서식
경남 하동, 산청 청정 계곡 지역
강원도 평창 고산 습지대
참고로 2025년 올해는 구룡마을 정비사업으로 개방을 안하고 폐쇄하니 헛걸음 하지 않게 미리 확인후 여행일정 잡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문의전화 : 금마면 행정복지센터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금마3길 7 / 대표전화 : 063-836-6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