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무형유산 너나들이 홍보물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은 5월부터 8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전라북도 전주에 위치한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대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무형유산을 기반으로 한 실험 공연 ‘2025 무형유산 너나들이’를 개최한다.

국립무형유산원이 주최하는 기획 공연인 ‘2025 무형유산 너나들이’는 무형유산을 중심에 두고 다양한 현대 예술 분야와 협업하여 전통의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동시대 관객과의 새로운 소통 방식을 실험하는 무대이다.

첫 번째 공연은 5월 30일 오후 7시 30분과 31일 오후 4시에 진행되는 <반도지형도>로, 거문고(황진아), 기타(이시문), 색소폰(김성완), 드럼(김수준) 연주자로 구성된 4인 그룹 반도가 ‘우리의 전통음악은 어디에서 왔는가?’라는 질문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지형과 문화적 다양성에서 한국 음악의 정체성을 찾는다. 이들은 각기 다른 음악적 배경 아래 한반도에서 영감을 받은 창작곡으로 한국적 음악을 탐색한다.

두 번째 공연인 <살로메 – 음악콘서트>는 6월 20일 오후 7시 30분과 21일 오후 4시에 열린다. 오스카 와일드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작품은 인간 욕망의 본질을 한국 전통 소리로 풀어낸 창작 공연으로, 작품의 주요 음악들을 부분적으로 선보이는 갈라콘서트 형식의 무대를 통해 강렬한 서사와 우리 소리의 깊이가 결합된 무대를 선보인다. 이틀간 판소리, 종묘제례악 등 국가무형유산 이수자 및 전수자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의 소리꾼 6명이 출연한다.

세 번째 공연은 8월 29일 오후 7시 30분과 30일 오후 4시에 열리는 <무경계無經界 III>이다. 록 밴드 ‘동양고주파’에서 활동하며 작곡가, 악기 제작자 등으로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윤은화가 유율 타악기인 양금을 중심으로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서로 다른 음악 갈래의 경계를 허무는 현대적이고 실험적인 무대를 선보여 관객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것으로 기대된다.
* 유율 타악기: 음의 높낮이가 있어 음정을 조율해서 선율을 연주할 수 있는 타악기

모든 공연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관람 예약은 각각 5월 21일(반도지형도), 6월 11일(살로메 – 음악콘서트), 8월 20일(무경계無經界 III) 오전 9시부터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www.nihc.go.kr)을 통해 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전화(☎063-280-1500, 1501)로 문의하면 된다.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은 앞으로도 무형유산의 전통적 가치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현대적 감각을 곁들여 자신만의 무대를 만들어가는 예술가들의 활동을 적극 지원하여 국민이 다양한 방법으로 무형유산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