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발굴연구
논문도서
보존관리
유산이야기
수리돌봄
교육활용
신업첨단
국제환수
지킴신탁
박물전시
사진영상
미래칼럼
인물문학
발굴연구
논문도서
보존관리
유산이야기
수리돌봄
교육활용
신업첨단
국제환수
지킴신탁
박물전시
사진영상
미래칼럼
인물문학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발굴연구
보존관리
교육활용
국제환수
지킴신탁
박물전시
미래칼럼
신문윤리강령
K헤리티지재단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미래칼럼
미래칼럼
미래칼럼 전체
인물문학
다음
이전
인물문학
일본고대화장실에서 발굴된 신라인,발해인들이 먹었던 음식들.
https://youtube.com/shorts/ALKs6WidB30?si=Rn45jnlTPa68r8qc고대 화장실 유적에서 발굴된
윤명철 논설위원
2025.04.09 08:33
미래칼럼
눈 큰 사슴-아내의 건강검진 결과를 먼나라에서 듣고.
눈 큰 사슴.ㅡㅡ아내의 건강검진 결과를 먼 나라에서 듣고. 윤명철 눈 큰 건 사슴만이 아닌데. 겁많은건 사슴만이 아닌데 착한건 사슴만이 아닌데 예쁜건 사슴만이 아닌데 똑똑한건 사슴만이 아닌데 부지런한 건 사슴만이 아닌데 사슴 만 아닌, 아내 그녀가 오늘 환하게 웃는다. 겁먹게 만든 그 게 별
윤명철 논설위원
2025.04.07 17:20
인물문학
일본 큐슈중부에 남은 고대한국문화 3
쓰루가(敦賀)에서 만난 왜, 가야, 신라, 고구려, 그리고 발해의 역사와 문화 쓰루가는 이렇게 한 일 고대사에서 중요한 지역이었으므로 주목할 만한 몇 가지 유적과 유물이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게히(氣比)신궁이다. 좀 떨어져 세운 차에서 내려 천천히 걸어간다. 아. 얼마 만인가? 가슴이 뛰기도 하고 착찹하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8 11:13
미래칼럼
일본 혼슈 중부인 쓰루가 지역의 고대한국문화 1
쓰루가(敦賀)에서 만난 왜, 가야, 신라, 고구려, 그리고 발해의 역사와 문화들윤명철 쓰루가 지역에 들어선다. 산 속 길을 계속 달리는 듯 하더니 바다가 나타났다. 범상치 않아 보이는 물들이 출렁거린다. 동해의 물들이다. 강원도의 양양, 경상도의 울진, 그리고 포항에서 보던 그 강하고 파란색 물들이다. 항구로 가서 정박한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8 11:13
미래칼럼
연천 지역의 고인돌 이해
연천 일대에는 고인돌들이 매우 많았다. 지금은 일부를 빼놓고는 통현리 고인돌 공원을 만들어 모아 놓았다. 대표적인 고인돌은 왕징면 무등리 고인돌인데, 덮개석에 구멍들이 분명한 형태로 20여 개나 새겨져 있다. 그런데 다른 고인돌들과 달리 일정한 패천을 이루었는데, 북극성과 북두칠성이라고 본다. 진상리 2호 고인돌은 덮개석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41
미래칼럼
한강 하류의 역사적인 환경
2. 한강 하류의 역사적 환경(1) 삼국시대 전기(방어체제의 1단계) 전곡리유적 등 구석기유적들이 발견되고 있어 일찍부터 사람들이 거주하였음을 알려준다. 신석기시대의 유적지들이 발견되어 한강 하류가 집단 취락지구였음을 알려준다. 渼沙里․岩寺洞 유적 등은 토기의 발견으로 유명하다. 벼농사 문제도 있다. 최근에는 김포․고양․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41
미래칼럼
한강과 임진강의 이해
2 한강과 임진강의 이해한강은 우리나라 중부의 가장 중요한 하천으로서 길이가 481km이고, 유역면적이 압록강 다음으로 넓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양수리에서 합쳐진 후에 북서방향으로 틀어 도중에 王宿川․漢川․炭川․良才川․安養川․昌陵川․曲陵川 등의 지류와 합류한다. 평야가 발달하였는데, 가장 큰 규모는 김포평야의 일부로서 현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41
미래칼럼
21세기 초문명시대. 왜 고대사를 공부해야할까?
21세기 ‘초문명’의 문 턱인데, 왜 굳이 고대사를 알아야 할까?윤명철 안녕하십니까? 진짜 봄이 왔군요. 저는 밭에도 가고, 나물도 캐고, 또 나물반찬도 먹고하니까 봄이 돌아온 것을 실감합니다. 몇일 전에는 밭에 갔답니다. 조금 높은데다가 길게 이어진 산과 연결된 야산 기슭에 있거든요. 아내가 앉아서 따사한 햇볕을 조이면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40
미래칼럼
호로고루. 赤 기와편에 핀 白 민들레
호로고루성 赤 기와편에 핀 白 민들레윤명철 반 뼘 채 못된 붉은 기와조각 들고 한 숨 분다. 저 멀리 만주. 고향 떠나 와 귀환 못한 채 영영 여기 임진강 황토밭 된 병사들 넋에다. 그 너른 땅들 헤갈하다 들려 온, 듣고 온 고구려를 담아 와 깊게 우려낸 그리움 땜에. 때때로 볼거리처럼 애간장 태우며 굳는 심장 손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40
미래칼럼
봄 날 역사학을 생각한다.
진짜 봄이 왔군요.저는 밭에도 가고, 나물도 캐고, 또 나물반찬도 먹고하니까 봄이 돌아온 것을 실감합니다. 몇일 전에는 밭에 갔답니다. 조금 높은데다가 길게 이어진 산과 연결된 야산 기슭에 있거든요. 아내가 앉아서 따사한 햇볕을 조이면서 칼질을 하는데, 후다닥 소리가 들리더라고요. 퍼뜩 머리를 스치는 것이 있어 고개를 산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40
미래칼럼
人불 山불로 번지다.
人불들 山불로 번지다.윤명철 환장했나. 화가 충천했나. 억지로 삼킨 화덩이들로 새가슴 새까맣게 타들어가더니. 속불, 열불들 터져 히잉거리며 재티들 산지사방 날리면서 죽자고 쫓아 온 댑바람 올라 타 긴 꼬리 휘날리며 熱나게 도주하더니. 산 골 골. 숲 속 속으로 불씨들 떨구면서 산불들 지핀다. 애먼 물오르는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39
미래칼럼
산불로 고운사가 소실됐다.
燒身(소신)한 고운사 전각 윤명철 그 절. 그 僧. 그 날. 그 밤. 전각 뒤 몸 숨긴 소쩌귀 法 치는 목탁 비비는 손바닥서 떨어지는 업장들 선방 창호지 뚫는 죽비 그믐 날 寅시 하늘 태우는 별똥들 남 몰래 묻고 온 사연들. 그 소리들. 두루 두루 모여드는 칠흑 전각 대청마루 바닥. 선 졸음기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36
미래칼럼
발해와 일본국은 동맹관계였다.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36
인물문학
한국 공예의 길을 밝히는 ‘공예일기’ - 이칠용 회장, 성주사지에서 문화의 혼을 깨우다
대한민국 전통 공예의 살아있는 역사이자, 그 혼(魂)을 지켜온 이칠용(李七(龍) (사)한국공예예술가협회 회장이 충남 보령의 성주사지를 찾았다. 나전칠기 공예의 거장으로 반세기 넘게 한국 공예의 세계화를 위해 헌신한 그는, 이번 방문을 통해 문화유산과의 새로운 인연(因緣)을 맺으며 공예 철학의 전환점을 맞이했다. [공예와
임인식 선임기자
2025.03.24 15:31
미래칼럼
[사설] 인구감소 시대, 문화유산이 지역을 살린다
지난 3월 13일, 국회 본회의에서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의결되었다. 이 법안은 인구감소지역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생활인구를 확대하며,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특례를 담고 있다. 이제 법적 기반이 마련된 만큼, 실질적인 실행 전략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해답 중 하나는 바로 지역의 문화
김희태 전문기자
2025.03.24 13:46
미래칼럼
이칠용, 성주사지에서 빛을 보다 - 공예예술의 거장, 선(禪)의 길을 걷다.
이칠용 (사)한국공예예술가협회장이 평생 처음으로 찾은 성주사지(聖住寺址), 그러나 그곳은 낯선 공간이 아니었다. 공예 문화예술계의 거목이 선(禪)의 본산을 밟으며 깊은 깨달음에 이르렀다. 충남 보령의 천년 고찰, 구산선문(九山禪門)의 대가람(大伽藍) 앞에서, 그는 공예(工藝)를 넘어 영혼의 조형을 경험했다. 보령석장 고
임인식 선임기자
2025.03.23 21:10
미래칼럼
한옥은 왜 비쌀까?
"한옥에 살고 싶은데 너무 비싸다." 이 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는 말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목재값이 비싸고 인건비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른 종류의 건축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렇다면 한옥이 비싸다는 다른 이유가 있지않을까요? 그렇습니다. 한옥이 비싼 이유는 다른 원인이 있습니다. 이를 되짚어보기 위
전문기자 이재은
2025.03.18 19:10
미래칼럼
[사설] 국가유산지킴이가 나아갈 길
우리나라에는 국가지정문화재뿐만 아니라 광역시·도 지정문화재, 시·군 향토문화재 등 다양한 문화유산이 존재한다. 그러나 국가유산으로 지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상당수의 유산이 관리와 활용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비지정문화재는 단순한 옛 건물이나 유물이 아니다. 지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사람들의 이야기가 깃든 살아
김희태 전문기자
2025.03.17 14:24
1
|
2
|
3
|
4
|
5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