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공예박물관이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시민 참여형 특별행사를 개최한다. 시민과 독립유공자 후손 80명이 함께 만드는 ‘서명문 태극기’ 제작과, 독립운동에 헌신한 공예인을 재조명하는 특별 강연이 함께 열린다. 공예를 통해 독립을 향한 과거의 외침을 오늘의 다짐으로, 더 나아가 미래의 희망으로 잇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다.
먼저 오는 7월 16일(수) 오후 2시부터 7시까지, 서울공예박물관 교육실에서 ‘시민 서명문 태극기’ 제작 행사가 펼쳐진다. 이번 행사는 1946년에 만들고 현재 독립기념관에 소장 중인 ‘한국광복군 서명문 태극기’를 모티브로 기획됐다. 전통 침선 기법을 활용해 제작된 4.5m×3m 크기로 조각보 형태의 대형 태극기에 광복회 소속 독립유공자 후손 40명, 사전 신청 시민 40명, 총 ‘80명’이 ‘앞으로의 80년’을 주제로 희망의 메시지를 적어 2025년 판 ‘서명문 태극기’를 만드는 것. 조각보 태극기 제작은 박춘화 대한민국 한복 명장이 맡는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광복군 서명문 태극기’에 남겨진 ‘완전 독립을 위하여 노력하자’, ‘애국’, ‘우리 삼천만 일심이 되자’ 등 독립운동가들의 염원과 오늘날 시민들의 다짐을 잇는 상징적인 작업이 될 예정이다. 과거의 염원이 미래의 희망과 비전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공예로 구현하는 것이 이번 행사의 핵심. 완성된 태극기는 18×10m 크기의 현수막으로 재현되어 서울공예박물관 외벽에 게양되며, 7월 25일(금)부터 8월 말까지 시민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행사와 연계하여 오는 7월 26(토) 오후 2시부터 공예박물관 강당에서는 ‘독립을 외친 공예가, 정인호와 장선희’를 주제로 특별 강의를 연다. 강연자로는 대구 한의대 김성은 교수와 서울공예박물관 김수정 관장이 나서며, 독립운동가로서 조국 독립과 문화발전에 크게 기여했던 정인호(1869~1945)지사와 장선희(1893~1970)지사가 공예사에 남긴 커다란 족적과 생애를 조명한다.
서울공예박물관의 광복 80주년 기념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과 참여를 원하는 시민은 누리집 내 프로그램 신청 게시판에서 신청하면 된다.
한편, 서울공예박물관 김수정 관장은 “이번 행사는 공예를 매개로 광복 80주년의 의미를 되새기고, 독립의 정신을 미래로 잇기 위해 기획했다”며 “독립운동가의 외침과 오늘 시민들의 다짐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뜻깊은 행사에 많은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서울공예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