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LA 한인 예술단의 식전행사 공연

서울역사박물관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의 국내 기관 또는 문화예술단체의 공연·전시·강좌 등을 해외 현지에 연계·지원하는 프로그램인 투어링 케이-아츠(Touring K-Arts)사업의 일환으로 국립인류학역사연구소(Instituto Nacional de Antropologia e Historia 이하 INAH) 산하 세계문화박물관에서 ‘서울의 멋’ 기획전을 8월 21일(멕시코 현지 시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중남미 중에서도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멕시코 시티에서 처음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서울역사박물관의 대규모 해외 전시로서, 멕시코 시티 시민들에게 K-POP, K-드라마로 대표되는 한류의 뿌리인 서울의 전통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의 멋》전시 포스터
전시기획을 담당한 서울역사박물관 담당자가 전시 설명을 하고 있다
《서울의 멋》전시장 내부 모습
《서울의 멋》전시 소장품을 현지 시민들이 관심있게 관람하고 있다

주요 전시품은 까치두루마기, 백자청화성문반구형 연적, 자수 수저 주머니 등 서울역사박물관의 210여 점(재현품 30여 점)의 소장품 중심이며 조선 후기 서울의 복식과 주거생활을 소개함으로써 K-팝, K-드라마를 넘어선 문화적 맥락을 제공하여 한류의 깊이를 크게 확장했다. 또한, 서로 다른 역사적 배경과 민족적 정체성을 지닌 멕시코 시티 시민에게 단순한 외국 문화 소개가 아닌 서울 문화의 가치와 깊이를 보여줌으로써 문화적 다양성 메시지를 현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자 준비했다.

「서울의 멋 : El encanto de Seúl」전시는 모두 3부로 구성되었다. 먼저 1부 ‘입다-격을 피우다’에서는 조선 후기 사대부 복식이 단순한 의복을 넘어 신분과 역할, 미의식과 삶의 철학을 담아낸 문화적 상징임을 보여준다. 돌잔치의 까치두루마기와 풍차바지, 혼례의 원삼과 당의, 비녀나 노리개 혹은 선추 등 정교한 장신구를 통해 길상성과 세련된 미감을 구현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2부 ‘살다-격을 품다’에서는 학문과 예술, 사유와 이상을 실천하던 내면의 서재로서 남성의 공간으로 자리 잡았던 사랑방과 바느질과 자수, 돌봄과 정서가 교차하던 섬세한 삶의 공간이었던 여성들의 규방을 조명한다. 이 공간들에서 핵심적 요소인 ‘문방사우’와 ‘규중칠우’의 ‘벗’이라는 개념을 통해 도구가 단순한 물건이 아닌 정서적 삶의 동반자로 기여할 수도 있다는 한국적인 사유방식도 전달하고자 했다. 그리고 3부 ‘이어지다-격의 도시, 서울’은 오늘날 전세계가 주목하는 역동적인 도시로 거듭났지만 경복궁과 창덕궁 그리고 광화문, 청계천과 인사동, 광장시장과 을지로 등에서 전통과 현대성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에 주목했다. 이를 생생한 영상을 통해 관람객들이 언어나 배경 지식 없이도 공간의 깊이와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한국의 전통 문양을 찍어 볼 수 있는 스탬프 코너를 마련하여 관람객들이 전통적인 문양의 길상적 의미를 접하고, 이를 직접 종이에 찍어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였다.

이번 전시가 열린 INAH 산하 국립세계문화박물관은 멕시코 연방정부 기관으로 멕시코 내의 고고학, 인류학 역사학, 고생물학 분야의 연구, 보존, 보호와 홍보를 담당하고 있으며 멕시코 시티 중심 소칼로 광장에 자리한 박물관이다. 총 1만 4천여 점의 유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남미에서 유일하게 한국실을 운영하고 있고 현재 110여 점의 한국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한편, 서울역사박물관 최병구 관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멕시코 시티 시민 여러분들이 전시된 ‘서울의 멋’과 멕시코 전통문화를 상호 비교·공감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서울이 지닌 문화 에너지가 멕시코 시티 시민들에게 연결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관련자료 서울역사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