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 황손, 최근 불거진 종묘 인근 개발 논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이준 황손(의친왕기념사업회 이사장)이 14일 서울 종로구 종묘에서 최근 불거진 종묘 인근 개발 논란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밝혔다. 그는 종묘를 “친 할아버지, 할머니의 신주가 모셔진 경건한 사당”이라며, 정치권이 종묘를 정쟁의 수단으로 삼지 말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날 발표는 종묘에 모셔진 역대 임금과 왕비의 직계 후손들이 정부와 서울시의 종묘 주변 개발 계획을 둘러싼 갈등에 우려를 표하며 마련됐다. 이준 황손은 고종 황제의 장증손이자 의친왕의 종손으로, 황실 후손을 대표해 입장을 전했다.
그는 “누군가에겐 종묘가 아름다운 건축물이자 문화유산으로 보일 수 있고, 또 누군가에겐 개발이 필요한 부동산으로 보일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저희에겐 조상의 신주가 모셔진 경건한 사당임을 간과하지 않았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종묘는 조선의 왕과 왕비, 공신들의 신주가 모셔진 곳으로, 한국인 대부분이 혈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조상의 사당”이라며 “과거에는 국립현충원과 같은 국가 사당의 역할을 했던 곳”이라고 강조했다.
이준 회장은 종묘의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함께, 세운상가 일대의 개발 필요성도 인정했다. 그는 “600년 역사와 전통이 숨 쉬는 사대문 안은 그 특색에 어울리는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라며 “서울시는 이 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문화유산을 후손에게 남긴다는 각오로 개발에 임해달라”라고 당부했다.
또한 그는 “중앙정부와 서울시가 머리를 맞대고 종묘를 보존하면서도 세운지역을 조화롭게 개발할 수 있는 상생의 지혜를 보여주길 바란다”며 “종묘를 정쟁의 도구로 이용하지 말아달라”고 거듭 요청했다.
김희태 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