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전승공동체 활성화 사업 - 정선아리랑 전승 체험 프로그램 >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지자체 공모를 통해 「2026년 전승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대상으로 ‘강원아리랑 문화사업화 프로젝트’(강원 정선·원주·속초)와 ‘소금으로 이어가는 삶의 기술’(울산 남구) 등 총 13개의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전승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은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국가무형유산 공동체종목을 전승하고 있는 단체가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지역문화 활성화를 도모하는 사업이다. 프로그램별로 조사·연구, 전승기반 확보, 활용·홍보 등 자율적인 전승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사전 상담(컨설팅) 등을 통해 프로그램이 처음부터 끝까지 충실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연간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 지원한다.
* 국가무형유산 공동체종목(23종목): 아리랑, 제다, 씨름, 해녀, 김치 담그기, 제염, 온돌문화, 장 담그기, 전통어로-어살, 활쏘기, 인삼재배와 약용문화, 막걸리 빚기, 떡 만들기, 갯벌어로, 한복 생활, 윷놀이, 설과 대보름, 한식, 단오, 추석, 동지, 사찰음식, 한글서예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이번 공모에는 11개 광역시·도에서 총 31개의 프로그램이 접수되었으며, 사업 적합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계 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최종 13개의 프로그램이 선정되었다.
특히 지자체간 협업을 장려하고 체계적인 운영을 도모하기 위해 내년부터는 지자체간 협업이나 광역 단체가 주관하는 프로그램은 기존 1억 원 지원에서 5천만 원을 추가한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 상향 지원받을 수 있으며, 첫 지원 대상으로는 강원특별자치도 3개 시군이 협업하는 ‘강원아리랑 문화사업화 프로젝트’와 충청북도에서 주관하는 ‘충북의 막걸리, 이야기로 마시다’가 선정되어 더욱 넓은 단위의 공동체종목 전승 기반을 마련하고 그 가치를 홍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외, 주요 선정 프로그램으로는 ▲ 울산 지역 제염 조사 및 관련 창업을 지원하는 ‘소금으로 이어가는 삶의 기술’(울산 남구 / 제염) ▲ 마을에 전승되는 떡 만들기 방법 기록 및 관련 교육을 실시하는 ‘손으로 빚는 문화’(전북 정읍 / 떡 만들기) ▲ 진도 출생 서예가인 손재형의 글씨체를 기반으로 하는 ‘한글서예로 새긴 진도소리’(전남 진도 / 한글서예) ▲ 전통 세시풍속에 현대문화를 결합한 ‘열두 달 즐거운 예천세시기’(경북 예천 / 추석 등 명절) 등이 있다.
지자체들은 각 선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올해 12월 실시예정인 사전 상담(컨설팅) 결과를 반영하여, 2026년부터 전승 활성화와 종목 홍보를 위한 조사·연구, 교육·체험 프로그램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지역 공동체 주도의 전승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국민들이 보다 쉽게 향유할 수 있는 국가무형유산 관련 문화콘텐츠를 육성하는 적극행정을 통해, 국가무형유산의 계승 기반을 넓혀나갈 것이다.